연구분야
연구분야
Bioinformatics and Genomics
김희발 교수 University of Delaware, USA 동물유전정보학 박사 (2003)
전공 | 동물유전체학 | 연구실 | 생물정보 및 집단유전학 연구실 |
---|---|---|---|
교수실 | 200동 5219호 / 02-880-4803 | 연구실/팩스 | 02-880-4822 / 02-883-8812 |
이메일 | heebal@snu.ac.kr | 홈페이지 | http://biopop.snu.ac.kr |
생물정보 및 집단유전학 연구실 소개 Laboratory of Bioinformatics & Population Genetics (BIOPOP)
본 연구실은 동물생명공학과 더불어 통계학, 전산학 등의 응용학문을 융합하여 정보학적으로 생물학적 근본자료를 생성하고 형질, 질병과 관련된 유전 정보 획득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현재 차세대 염기서열결정(NGS)라는 혁명적 방식을 통해 엄청난 양의 유전체 데이터가 생산되고 있으며 앞으로 그 생산량은 더욱 빠르게 증가될 것입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다양한 생물 종에서 생산된 방대한 유전체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 생산하고 생물의 유전체 속에 남겨진 집단의 진화분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한재용 교수 University of Minnesota, USA 동물분자유전학 박사 (1991)
전공 | 동물분자유전학 | 연구실 | 동물분자유전학 연구실 |
---|---|---|---|
교수실 | 200동 4217호 / 02-880-4810 | 연구실/팩스 | 02-880-4815 / 02-874-4811 |
이메일 | jaehan@snu.ac.kr | 홈페이지 | http://age.snu.ac.kr |
동물유전공학 연구실 소개 AGE LAB
동물유전공학기술을 접목하여 생산한 유전자 편집 및 형질전환동물(Genome Edited and Transgenic Animal)은 질병저항성, 경제형질향상, 생리활성물질 개발, 신약 생산 및 검증, 유전자 조절 연구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미래 응용 과학 분야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동물유전공학연구실에서는 조류에서 효율적인 유전자 편집 및 형질전환조류 시스템 확립, 생체반응기 및 모델동물 개발, 유용유전자 및 기능성 물질 발굴, 이종간 키메라 생산 시스템을 활용한 조류 복원, 조류줄기세포 개발 분야에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김영훈 교수 고려대학교 응용동물과학과 박사 (2007)
전공 | 동물미생물학 | 연구실 | 동물미생물학 연구실 |
---|---|---|---|
교수실 | 200동 4223호 / 02-880-4808 | 연구실/팩스 | 02-880-4821 / 02-873-2271 |
이메일 | ykeys2584@snu.ac.kr | 홈페이지 | http://calslab.snu.ac.kr/animicrobiol |
동물미생물학 연구실 소개 SNU Laboratory of Animal Microbiology (SLAM)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인체와 동물에서 장건강을 포함하는 다양한 숙주의 건강 유지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최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라는 개념과 함께 프로바이오틱스와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의 경우 건강한 수명연장 함께 비만, 당뇨, 염증성장질환/과민성장증후군, 암, 심혈관건강, 우울증과 같은 정신건강, 수면, 관절염 같은 다양한 대사성 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 산업의 경우 동물의 생산성과 사료효율, 동물질병, 축산물 품질, 번식효율, 동물복지 등 축산업 전반에 있어 광범위하게 이들의 중요성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동물미생물학 연구실은 이러한 학문적, 산업적 중요성에 부응하여 인체와 동물 유래의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장관 유래 혐기 미생물을 분리/동정, 유전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예쁜 꼬마선충과 같은 동물대체모델을 이용하여 이들과 숙주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의 산업적 이용을 위해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신바이오틱스, 포스트바이오틱스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낙농유제품으로의 적용을 위한 우유 유래 기능성 물질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의 분자 기전 연구를 통해 축산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들도 함께 진행되고 있습니다.